본문 바로가기
공부/재테크

[주식기초] 상승/하락 추세전환 캔들형태

by 두툼한 오리 2020. 4. 30.
반응형

[주식기초] 상승/하락 추세전환 캔들형태

 

안녕하세요~ 키보드워리어 잔소리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저번에 예고했듯이, 주식의 기술적 분석/기본적 분석 중 기술적 분석의 하나인 캔들의 형태를 가지고  의미를 분석해보는 시간을 가져볼 거예요. 캔들 하나가 아닌 2~3가지 이상의 캔들이 합쳐져서 나타내는 의미인 만큼, 그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어요.

 

 

 

1. 상승반전 추세전환 캔들의 형태

 

하락이 끝나고 상승반전/추세전환의 캔들의 형태에는 상승 잉태형(확인), 상승 장악형(확인), 상승 샛별형, 적삼병 등이 있어요. 글로 쓰기만 하면 잘 이해가 안 되실 거 같아서 제가 직접 파워포인트로 추세반전형 캔들의 형태를 그려보았습니다.

 

상승반전 캔들형태
상승반전 캔들형태

1) 상승 잉태형

 음봉 이후에 다음날 갭 상승으로 시작을 해서 음봉의 시가 안에서 끝나는 양봉이 출현해야 합니다. 음봉이 양봉을 잉태한 형태라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어요. 이러한 2가지 봉의 형태가 출현하면 바닥에서부터 상승반전의 신호가 나왔다고 생각해도 무방해요.

 

하지만 조금 더 확실하게 확인하기 위해서 그다음 날까지 보는 것이 더 중요해요. 최소한 3가지의 봉의 형태를 관찰한 후에 진입하는 것이 확률이 높겠죠? (짧은 경험이지만 주식은 급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것 같아요.) 다음날 양봉 (확인)하면 바닥에서 중장기로 포지션을 잡고 진입해볼 만해요.

 

2) 상승 장악형

 음봉 출현 이후에 갭 하락해서 음봉의 저가부터 고가까지 감싸는 형태입니다. 음봉의 저가부터 고가까지를 양봉이 모두 장악한 형태여서 상승 장악형 캔들 유형이라고 불러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음봉의 저가를 장악하기 위해서 양봉이 '갭 하락'해야 하는 형태인 것이죠. 이 형태 또한 확인형 양봉 캔들을 확인하는 것이 확률이 높아요. 

 

3) 샛별형

 계속해서 하락하던 주가가 갭 하락하면서 그날 양봉 도지형태의 캔들이 나온 이후 다음날 갭 상승을 하는 캔들이 출현하면 우리는 이를 샛별형 캔들의 형태라고 불러요.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갭하락 후 도지형의 캔들 출현'입니다.

 

4) 적삼병형

 다들 아시는 적삼병 형태는 바닥에서 뿐만 아니라 어디에서 떠도 상승 지속형 캔들로 그 주가가 상승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할 때 출현하는 캔들입니다. 이 캔들의 유형 또한 바닥에서 출현을 하면 그 하락이 끝이 나고 상승으로 추세를 전환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어요.

 

TIP

 

 이러한 캔들의 형태는 무조건적일 수는 없지만 그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 모든 것은 인내하고 기다려서 조금이라도 확률이 높은 타점에서 진입해야 된다는 것이 중요해요.

 

 

개미가 세력을 상대하기 위한 유일한 도구 '손절'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 텐데요. 이러한 유형의 캔들 형태에서도 100%가 아니기 때문에 손절라인이 존재해요. 의외로 아주 간단해요. 중간에 있는 캔들의 시가를 손절로 잡으면 돼요. 예) 상승 잉태형: 음봉과 확인형 캔들 사이의 양봉의 시가 샛별형: 음봉과 양봉 사이의 도지형 캔들의 시가

 

이것 이외에도 추세반전형으로는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주가가 거래량이 터지면서 망치형이나 역망치형이 나오면 이 시점에서부터 바닥이 가까워졌음을 의미합니다.

 

 

2. 하락반전 추세전환 캔들의 형태

 상승이 끝나고 하락반전 추세전환의 캔들의 형태는 상승반전의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하락 잉태형, 하락장악형, 석별형, 흑삼병 등이 있어요.

 

하락반전형 캔들
하락반전형 캔들

양봉 음봉이 서로 바뀌었다는 것만 다를 뿐 하락반전형 캔들 또한 상승반전형 캔들과 동일해요. 그렇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할게요.

 

1) 하락 잉태형

양봉 출현 이후 갭 하락하면서 시작한 후 양봉 안에 갇힌 음봉이 나오게 된 형태입니다. 양봉이 음봉을 잉태한 형세라서 이렇게 이름이 붙여졌어요. 이 형태 또한 확인형까지 보고 난 이후에 매도를 결정하는 것이 확률이 높아요.

 

2) 하락장악형

양봉 이후 갭상승 출발을 하지만 전날의 양봉을 이날의 음봉이 고가부터 저가까지 다 감싸는 형태가 나오는 캔들입니다.

 

3) 석별형

고점에서 갭 상승한 도지형태가 나오고 그 이후 음봉이 떨어지는 형태로 그 생김새가 '지는 별'과 같다고 해서 '석별형'이라고 이름 붙었어요. 고점에서 이러한 도지형 캔들이 출현하기 시작하면 그 종목은 단기적으로는 끝났구나 생각하고 도망쳐 나와야 합니다!

 

4) 흑삼병

 적삼병의 반대인 흑삼병은 음봉이 세 개가 연속 출현하는 캔들의 형태예요. 매수세보다 매도세가 월등히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가 나오고, 3개의 연속한 캔들의 길이가 갈수록 길어질수록 주가가 떨어질 확률이 더 높아져요.

 

이것 이외에도 추세반전형으로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주가가 거래량이 터지면서 교수형이나 유성형이 나오면 이 시점에서부터 고점이 가까워졌음을 의미합니다. 이런 고점에서는 욕심내지 말고 수익을 챙길 수 있을 때 챙겨서 나오는 것이 현명하겠죠?

 

 

여기까지가 혼자서 공부해온 내용이에요. 다들 현명하게 투자해서 성공한 투자자가 되셔요!

 

2020.04.27 - [공부/재테크] - [주식기초] 기본적분석/기술적분석은 무엇인가?

 

[주식기초] 기본적분석/기술적분석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잔소리입니다. 요즘 코스피/코스닥 증시가 코로나니 미국이니 김정은이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이리저리 휘둘리고 있어요. 저도 주식 초보이지만, 열심히 주식도 하

tesewoos.tistory.com

 

2020.05.04 - [공부/재테크] - [주식기초] 거래량의 숨겨진 의미 'Secret'

 

[주식기초] 거래량의 숨겨진 의미 'Secret'

안녕하세요. 키보드 워리어 잔소리입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 캔들 공부에 이어서 기술적 분석의 하나인 '거래량'과 '거래대금'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주식 유통시장에서 매매된(매수와 매

tesewoo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