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대학교

경영정보 : MIS의 계획수립

by 두툼한 오리 2020. 6. 26.
반응형

경영정보 MIS의 계획수립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의 계획수립

1. MIS의 정의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조직의 전반적인 운영, 관리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형태로 조직 구성원에게 전달함으로써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합적 인간-기계 시스템이다.

 

2. 전통적 MIS계획의 유형과 그 연관성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계획이란, 조직의 정보기술 활용목표를 설정하고, 그 실행과정을 구체화하거나 조직에서 확보해야할 응용시스템을 규명하는 행위이다.  MIS의 계획은 단기계획 → 중장기계획 → 전략계획으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단기계획은 매년 수립하는 구체적인 연간 계획이고, 중기(2~5년)/장기(10년) 계획은 조직목표에 적합한 MIS기능 및 구조설계, 자원의 추정 및 실행계획이다.  MIS기능의 기본 목표설정, 이를 위한 총괄적인 관련자원의 확보와 활용에 관한 기본지침이 전략계획이다. 

 

3. 계획수립에 있어서 VISION?

계획에 앞서 VISION은 조직이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목표를 정함으로써 작은 일에 흔들리지 않고 어떠한 구체적인 계획을 만들어 나갈 것인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4. MIS 계획의 내용에 포함해야 하는 영역

MIS계획의 영역을 Earl(1989)은 정보시스템(IS=Information System) 정보기술(IT=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관리(IM=Information Management) 영역으로 구분했다. IS영역은 기업전체나 사업부 또는 기능부서 차원에서 수요지향적으로 사업상의 요구와 응용시스템 개발을 최대한 연계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IT 영역은 어떻게 응용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용할 것인가? 기술공급분야의 표준이나 지침과 관련된 제반정보기술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 포인트로 잡았다. → 공급지향적, 기술중심적 IM영역은 조직내에서 수행해야 할 MIS기능 또는 업무를 정의하고 이를 조직화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관계지향적, 관리중심적

 

5. MIS 계획수립의 4단계

보우만의 제3 모형 : 전략계획(SP) →정보요구분석(IRA) → 자원할당(RA) 

웨서비의 제4 모형 : 전략계획(SP) 정보요구분석(IRA) 자원할당(RA) 프로젝트 계획수립

 

6. BSP(Business Systems Planning) 수립에서 하향식, 상향식 구현

전사적 분석 접근 조직 전체를 면밀히 검토하여 장/단기 정보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MIS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조적 접근방법. Data Analysis (Bottom Up) ↔  Decision Analysis (Top Down)

BSP 추진에 있어서 선행해야 하는 것은 최고경영층의 지원과 참여를 확보하는 일이다. 장점은 BSP을 통하여 조직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조직 내의 다양한 정보요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단점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미래보다는 현재 중심의 정보요구 분석에 치중하는 특성을 가진다.

 

7. ISP(Information Stretegy Planning)

경영전략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의 정보시스템과 관련한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를 제공함으로써 미래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틀을 수립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최적의 정보화를 추진해 나가기 위한 중장기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직의 목표와 ISP를 합치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8. EAP(Enterprise Architecture Planning) VS ISP

ISP는 전략위주의 접근과 마스터플랜의 성격을 띠지만 EAP는 물리적 아키텍처 위주의 접근과 지속적인 변화관리의 틀을 제공한다. ISP는 전략을 토대로 정보화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며, EAP는 물리적 아키텍처를 토대로 통합적 정보관리체계를 제시한다.

 

9. EAP와  ISP의 통합

1. ISP의 정보화 비전과 방향제시, EAP의 정보화 구조와 체계 수립이라는 장점을 더하면 보다 나은 계획의 수립이 가능하다.

2. ISP의 Top-Down, EAP의 Bottom-Up의 보완적 결합

3. ISP의 비전, EAP의 구체적 방법론의 보완적 결합

 

10.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

전략적 분석 접근 :  주요한 관심사항에서 조직의 정보요구를 파악, 조직의 정보요구를 전략적으로 접근하여 파악

1. Objectives 또는 Goals 달성을 위해 성취되어야할 Key areas

2. 성공을 위한 중요요인으로써 성취하지 못하면 지장을 초래하는 중요사항

3. 모든 조직이나 부서에는 여러 개의 핵심 성공요인이 있다.

4. Goal, Strategy와 같은 용어와는 다분히 주관적 판단대상

 

11. 시나리오

많은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는 미래 상황을 예측하여 하나가 아닌 여러 개의 가상의 시나리오를 만들고 거기에 맞춰 장기전략을 수립하고 계획을 작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의 특징 및 장점은 명확하게 숫자로 표현하기 힘든 미래 상황까지 표현 가능하고 변화의 원인과 대응전략의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다.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형태로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이 증대될 수 있다.

 

12. 놀란의 단계 모형 (The Nolan Stage Model)

놀란의 단계 모형은 성장단계 외 경영시스템의 여러 가지 특징을 대응시키는 모형으로 정보시스템 계획을 위한 상황 이론이다. 이 모형의 기본적인 논지는 조직은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성장의 각 단계를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조직의 현재 단계가 진단될 수 있다면, 이 모형은 계획수립에 있어서 좌표를 제공할 수 있다. 놀란은 정보시스템의 성장을 *처음 4단계에서 **6단계로 확장하여 설명하였다. 놀란 모형의 성장곡선은 일반적인 조직 성장 주기로 사용되는 S자 곡선이다. 

 

*착수  확장  통제  통합

** 착수  확장  통제  통합 데이터관리  성숙

 

13. IT Governance : 정보기술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

막대한 투자와 시간, 노력이 요구되는 전사적 차원의 IT 프로젝트 및 정보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구축, 운영하기 위해서는 조직 전체 관점의 관리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통합적인 관점에서 정보기술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한데 정확한 IT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책임구조를 명확히 하는 것이다. 

 

 

14. MIS 계획수립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환경적 요인

1. MIS 책임자의 위치: MIS 책임자에게 적절한 지위가 부여될 때 MIS 계획이 효과적으로 수립, 추진될 수 있다.

2. MIS 부서와 사용자 부서간의 지리적 거리.

3. 조직문화와 경영스타일: 조직의 공식화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공식적 MIS 계획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4. 조직규모 복잡성: 조직의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정보기술응용 범위 또한 넓어지게 됨으로 MIS 계획의 필요성이 높아진다.

 

15. MIS 계획 수립유형의 변천단계

기술주도형 IT/IS 응용분야의 개발/확대, 경영층의 이해
방법론중심형 조직의 요구사항 정의, 우선순위 도출
관리중심형 구체적 IS 개발계획, 균형적 IS 개발
사업주도형 경쟁우위확보, 전략적 기회 탐색
조직주도형 조직전략 연계, 조직전략과 IS/IT의 통합

 

2020.06.27 - [공부/대학교] - 경영정보 : MIS 조직부서 / 인력관리

 

경영정보 : MIS 조직부서 / 인력관리

경영정보 조직부서 인력관리 정보자원관리 기업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자원으로 인식하고 그러한 정보를 포함하여 그곳에 필요한 정보기술 및 관련 자원을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주체별 대상

tesewoos.tistory.com

 

반응형

댓글